2020년 10월 뉴욕 록펠러 대학 소속 바이러스 학자들이 1년간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가 훗날 어떻게 변화될 것인지를 예측하는 연구였다.
아직 일반 시민들은 코로나19의 새로운 변종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변이를 거듭할 것이고, 이 과정에서 더 치명적이고 전염력이 큰 변종이 나올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록펠러 대학 연구팀은 연구를 위해 인공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었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단백질. 연구팀은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회복된 사람들의 모든 항체를 무마시킬 수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어 보려 했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12개월 동안 스파이크 단백질 표면에 있는 다양한 돌연변이를 조합했다. 그리고 20종의 “프랑켄슈타인 스파이크”를 만들어 냈다. 연구팀은 이를 바이러스를 실험할 때 사용하기 위해 유전물질이 없어 복제가 되지 않게 만든 유사 바이러스에 주입했다. 처음 결과는 예상대로였다. 연구팀이 만든 바이러스를 코로나19 회복자나 백신을 접종자에게 주입하자, 바이러스가 모든 항체를 피해갔다.
그런데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2020년에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회복을 하고 이후 백신까지 접종한 이들의 혈액에서는 혈액 속 항체가 바이러스를 묶어 중화시켰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록펠러 대학 분자면역학 교수 미헬 누센츠바이크는 “정말 믿기 힘든 광경이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자연 감염에서 온 것인지, 백신 접종을 통해 만들어진 것인지, 아니면 둘 다인지 등에 따라 면역 반응이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록펠러 팀의 발견은 지난 4개월 동안 실생활에서도 반복적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에서 완치된 후 백신을 맞은 이들은 델타, 오미크론 등 새로운 변종에 대해 다른 이들보다 더 큰 저항력을 보였다.